반응형

부팅할 때나 윈도우를 새로 깔 때 Press any key to boot CDROM...부분에서 키보드 안먹힐 때가 간혹 있다. PS/2 키보드를 꽂으면 잘 되는데 USB 키보드나 무선 키보드를 꽂아 두면 꼭 이 부분에서 키보드가 안먹힌다. 아무키나 눌러야 윈도우 설치를 시작할 수 있는데 키보드가 안 먹히니 설치 화면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CMOS화면으로 들어가 보면 USB Keyboard Support 라는 메뉴를 찾을 수 있다. 이 부분을 Enable로 설정해 주니 키보드가 제대로 작동 했다. Press any key to boot CDROM...부분에서 정상적으로 키보드를 누를 수 있었다. 무선 키보드들도 대부분 USB포트에 연결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런 방법으로 설정해 주면 윈도우 설치 시에도 문제 없이 USB 키보드나 무선 키보드를 잘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반응형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locale 설정 변경  (0) 2009.01.07
linux man page...  (0) 2009.01.04
Mysql 에러별 대처 방법  (0) 2008.12.29
모니터 사이즈 비교  (0) 2007.07.18
Port Scanner  (0) 2007.07.05
반응형

윈도우비스타는 시작 버튼을 눌렀을 때 나오는 종료 버튼을 누르면 컴퓨터가 종료 되지 않고 절전 모드로 들어간다. 기존의 윈도우XP에서는 '시작'>'컴퓨터끄기'를 선택하면 컴퓨터를 끌 수 있게 3가지 메뉴가 나온다.


윈도우비스타를 처음 쓰게 되면 이 부분이 불편하다고 생각 된다. 주위 윈도우 사용자들 중에 절전모드를 자주 쓰는 사람을 거의 보지 못했다. 잘 안쓰는 절전 기능이 기본으로 종료 버튼을 꿰 차고 앉아 있는 꼴이다. 실제 종료를 하려면 한단계 더 가서 ▶ 버튼을 누른 후 '시스템종료'를 클릭해 줘야 종료된다.


윈도우비스타를 쓰다 보면 '종료버튼'을 '절전'에서 '종료'로 바꾸고 싶은 마음이 생길 것이다. 어떻게하면 '절전'에게 빼앗긴 '종료버튼'을 되 찾아 올 수 있는지 알아 보자.



기본 상태의 종료 버튼은 이런 모양이다


종료 버튼에 마우스를 올려 놓으면 위와 같은 글자가 나타난다

'작업을 빠르게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 세션을 저장하고 컴퓨터를 절전 상태로 전환합니다.'라는 글이 나오고 있다.


 

제어판의 '하드웨어 및 소리'->'전원옵션'으로 들어간다.

 
'전원관리 옵션설정 변경'으로 들어간다

'고급 전원 관리 옵션 설정 변경'으로 들어간다.



'전원 단추와 덮개'>'시작 메뉴 줜원 단추'에서 설정을 기존 '절전'에서 '시스템 종료'로 바꿔 준다.




이렇게 해 주면 종료버튼이 진정한 '종료'로 바뀐다.




바꿔 주고 나면 종료버튼 모양이 약간 바뀌게 된다. 어떤 부분이 바뀌었는지 못 알아 보겠는가? 못 알아 보겠다면 맨 위에 있는 사진과 비교해 보기 바란다.



종료버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면 나오는 글이 이전과 달라졌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열려 있는 프로그램을 모두 닫고 Windows를 종료한 다음 컴퓨터를 끕니다'라고 나온다.

반응형

'Computer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A 암호  (0) 2007.09.19
OpenCV 설치하기  (1) 2007.08.19
Visual Studio 2005에서 DirectX 설정  (0) 2007.07.24
패턴인식의 정의  (4) 2007.02.05
C++ Singleton Pattern  (0) 2007.02.03

+ Recent posts